반응형
SMALL
간단히 말하자면 인프라스트럭쳐를 코드로 관리하는 방식의 툴이다.
코드형 인프라라는 뜻으로 IaC(Infra as a code)라고 한다.
장점
- 코드로 서버를 생성하기 때문에 서버운영 및 관리가 모두 자동화 될수 있다.
- 코드로 수행하기 때문에 빠르고 실수를 방지 할수 있다.
- 인프라 코드가 기록, 관리되어 문서화 되고 형상관리가 가능하다.
- 코드리뷰와 테스트로 사전에 장애를 예방할수 있다.
기본 구성
프로비저닝(Provisioning)
- 어떤 프로세스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
- 네트워크나 컴퓨팅 자원을 준비하는 작업
프로바이더(Provider)
- 테라폼과 외부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기능
- AWS, GCP, Azure, GitHub, Datadog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들과의 연결
리소스
- 프로바이더가 제공해주는 조작가능한 대상의 최소단위
- AWS 프로바이더는 aws_instance 리소스 타입을 제공하고 이 리소스 타입을 사용해 EC2의 가상 머신 리소스를 선언하고 조작하는것이 가능함
계획 ( Plan )
- 테라폼의 *.tf 파일의 내용을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작업
적용 ( Apply )
- 테라폼의 *.tf 파일의 내용대로 리소스를 생성, 수정, 삭제하는 일을 적용
참고자료
Terraform aws tutorials
Terraform AWS Documentation
강력추천 (한글화 가이드)
반응형
LIST
'Dev > Infra & Modu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erraform AWS EKS (0) | 2022.09.15 |
---|---|
Terraform Plugin 설치 환경구성 (0) | 2022.09.15 |
Jmeter 사용법 (Mac) (0) | 2022.08.25 |
Redis Client 접속 및 간단 명령어 (0) | 2022.08.22 |
Amazone SNS (0) | 2022.08.04 |
댓글